실이측정(REM, Real-Ear Measurements)

보청기를 하게 되면 귀 안의 체적이 바뀌게 되어 귀 음향특성이 변합니다. 이러한 음향적 변화는 개인에
따라서도 다르고, 똑같은 모델의 보청기라 하더라도 주파수 특성이 균일 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 보청기를
통해서 고막에 전달되는 음성주파수 응답특성을 이론상의 목표치에 맞게 정확히 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실이측정이란 글자 그대로 실제 귀 안에 마이크를 삽입하고 귀 안의 음향특성을 측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실이측정을 통한 보청기 정밀 튜닝
실이측정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디지털보청기를 조정을 하여 원하는 주파수 응답특성으로 튜닝하면,
고객의 보청기에 대한 만족도가 상당히 많이 올라갑니다. 실이측정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으면
보청기 착용 실패 확률이 높아집니다. 보청기의 첫 피팅이나 두번째 피팅시 뿐만 아니라,
보청기 리시버의 성능이나 열화정도를 파악하는데도 도움이 됩니다.

실이측정 준비과정
1. 외이도 검사
외이도 상태를 검사하고, 염증이나 귀지가 프로브 마이크(Probe Mic.)를 방해할 만한 것은 없는지
살펴봅니다.
2. 스피커의 배치와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실이측정은 차음이 좋고 잔향이 없는 조용한 음향룸에서 하되, 스피커의 위치는 고객의 귀와 45도 각도,
거리는 30~50cm 를 기본으로 하며, 가까울 수록 음향룸의 잔향시간이 적을수록 오차가 적습니다.
음향룸의 가로 세로 높이와 비율에 따른 정재파(Standing Wave)의 영향이 있기 때문에 스피커의 위치는
정말 중요합니다.
위치를 잘 정하고 마이크와 스피커간의 거리와 위치에 따른 캘리브레이션을 반드시 해야합니다.

3. 마이크 프로브 튜브 (Probe Tube) 삽입
측정용 마이크와 연결될 프로브 튜브는 귀 안에 고막근처에 삽입하여야 하는데, 이 때 튜브끝의 위치가
매우 중요하며, 고막에서 5mm 이내에 위치하여야 합니다. 이 위치에 따라 고음역의 측정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숙련된 기술을 요합니다.

성인의 외이도의 깊이는 25mm(1인치), 외이도 입구에서 이주(Tragus)까지의 거리는 10mm입니다.
그러므로 고막까지의 깊이는 이주에서부터 35mm 정도입니다.
브로브 튜브의 깊이를 이주에서 30mm 로 하면 고막에서 5mm 떨어지게 됩니다.
30mm 를 기준으로 성인 남자의 경우 31mm, 성인 여성은 28mm, 아동은 20~25mm 정도의 깊이로
브로브 튜브를 위치시켜야 합니다.
실이측정 데이터
측정값은 반응(Response) 또는 이득(Gain)으로 나타내며 단위는 데시벨(dBSPL) 입니다.
Response(응답 또는 반응)은 음압(SPL)으로 나타내며, 출력만을 나타냅니다.
Gain(게인 또는 이득)은 입력신호에 대한 출력 이득을 나타냅니다. 즉, 출력값에서 입력값을 뺀 값입니다.
1. REUR (Real-Ear Unaided Response) / REUG (Real-Ear Unaided Gain)
실이공명반응 / 실이공명이득
오픈된 외이도의 고막근처의 음향특성을 나타냅니다.

2. REAR (Real-Ear Aided Response) / REAG (Real-Ear Aided Gain)
실이증폭반응 / 실이증폭이득
보청기를 착용한 후 ON 상태에서의 고막근처에서 측정된 결과입니다.

3. REOR (Real-Ear Occluded Response) / REOG (Real-Ear Occluded Gain)
실이폐쇄반응 / 실이폐쇄이득
보청기를 착용한 후 OFF 상태에서의 고막근처에서 측정된 결과입니다.

4. REIG (Real-Ear Insertion Gain)
실이삽입이득
보청기 착용한 후 ON 상태에서 보청기 착용으로 얻어지는 이득(Gain)입니다.
REIG = REAR - REUR ( 또는 REAG - REUG )

5. RECD (Real-Ear-to-Coupler Difference)
실이대커플러차
REAG과 2CC커플러를 이용한 CG(Coupler Gain) 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RECD = REAG - CG

실제로 측정을 해보면, 예측값과 거리가 큰 경우가 있습니다.
실제 보청기에서 나오는 음압이 주파수별로 예상값과 다른 경우, 고객의 만족도는 상당히
떨어집니다. 울림이 심하다던가, 왕왕거린다던가, 코맹맹이 소리, 종이 부시럭거리는 소리가
너무 크다던가, 등등..
따라서 실이측정은 매우 중요한 과정이며, 번거롭고 시간이 걸리더라도 소홀히 해서는 안됩니다.
보청기 구입전에 실이측정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박 영 근, Ph.D.
스타키보청기 김포센터
청각음향연구소
http://www.hearbest.net
김포, 강화, 검단 지역 공식 스타키보청기 전문점
경기도 김포시 사우동 927 드림월드프라자 206호
(사우역 3번출구, 김포 공설운동장 앞 우리은행 2층)
031-985-8033
실이측정(REM, Real-Ear Measurements)
보청기를 하게 되면 귀 안의 체적이 바뀌게 되어 귀 음향특성이 변합니다. 이러한 음향적 변화는 개인에
따라서도 다르고, 똑같은 모델의 보청기라 하더라도 주파수 특성이 균일 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 보청기를
통해서 고막에 전달되는 음성주파수 응답특성을 이론상의 목표치에 맞게 정확히 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실이측정이란 글자 그대로 실제 귀 안에 마이크를 삽입하고 귀 안의 음향특성을 측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실이측정을 통한 보청기 정밀 튜닝
실이측정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디지털보청기를 조정을 하여 원하는 주파수 응답특성으로 튜닝하면,
고객의 보청기에 대한 만족도가 상당히 많이 올라갑니다. 실이측정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으면
보청기 착용 실패 확률이 높아집니다. 보청기의 첫 피팅이나 두번째 피팅시 뿐만 아니라,
보청기 리시버의 성능이나 열화정도를 파악하는데도 도움이 됩니다.
실이측정 준비과정
1. 외이도 검사
외이도 상태를 검사하고, 염증이나 귀지가 프로브 마이크(Probe Mic.)를 방해할 만한 것은 없는지
살펴봅니다.
2. 스피커의 배치와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실이측정은 차음이 좋고 잔향이 없는 조용한 음향룸에서 하되, 스피커의 위치는 고객의 귀와 45도 각도,
거리는 30~50cm 를 기본으로 하며, 가까울 수록 음향룸의 잔향시간이 적을수록 오차가 적습니다.
음향룸의 가로 세로 높이와 비율에 따른 정재파(Standing Wave)의 영향이 있기 때문에 스피커의 위치는
정말 중요합니다.
위치를 잘 정하고 마이크와 스피커간의 거리와 위치에 따른 캘리브레이션을 반드시 해야합니다.
3. 마이크 프로브 튜브 (Probe Tube) 삽입
측정용 마이크와 연결될 프로브 튜브는 귀 안에 고막근처에 삽입하여야 하는데, 이 때 튜브끝의 위치가
매우 중요하며, 고막에서 5mm 이내에 위치하여야 합니다. 이 위치에 따라 고음역의 측정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숙련된 기술을 요합니다.
성인의 외이도의 깊이는 25mm(1인치), 외이도 입구에서 이주(Tragus)까지의 거리는 10mm입니다.
그러므로 고막까지의 깊이는 이주에서부터 35mm 정도입니다.
브로브 튜브의 깊이를 이주에서 30mm 로 하면 고막에서 5mm 떨어지게 됩니다.
30mm 를 기준으로 성인 남자의 경우 31mm, 성인 여성은 28mm, 아동은 20~25mm 정도의 깊이로
브로브 튜브를 위치시켜야 합니다.
실이측정 데이터
측정값은 반응(Response) 또는 이득(Gain)으로 나타내며 단위는 데시벨(dBSPL) 입니다.
Response(응답 또는 반응)은 음압(SPL)으로 나타내며, 출력만을 나타냅니다.
Gain(게인 또는 이득)은 입력신호에 대한 출력 이득을 나타냅니다. 즉, 출력값에서 입력값을 뺀 값입니다.
1. REUR (Real-Ear Unaided Response) / REUG (Real-Ear Unaided Gain)
실이공명반응 / 실이공명이득
오픈된 외이도의 고막근처의 음향특성을 나타냅니다.
2. REAR (Real-Ear Aided Response) / REAG (Real-Ear Aided Gain)
실이증폭반응 / 실이증폭이득
보청기를 착용한 후 ON 상태에서의 고막근처에서 측정된 결과입니다.
3. REOR (Real-Ear Occluded Response) / REOG (Real-Ear Occluded Gain)
실이폐쇄반응 / 실이폐쇄이득
보청기를 착용한 후 OFF 상태에서의 고막근처에서 측정된 결과입니다.
4. REIG (Real-Ear Insertion Gain)
실이삽입이득
보청기 착용한 후 ON 상태에서 보청기 착용으로 얻어지는 이득(Gain)입니다.
REIG = REAR - REUR ( 또는 REAG - REUG )
5. RECD (Real-Ear-to-Coupler Difference)
실이대커플러차
REAG과 2CC커플러를 이용한 CG(Coupler Gain) 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RECD = REAG - CG
실제로 측정을 해보면, 예측값과 거리가 큰 경우가 있습니다.
실제 보청기에서 나오는 음압이 주파수별로 예상값과 다른 경우, 고객의 만족도는 상당히
떨어집니다. 울림이 심하다던가, 왕왕거린다던가, 코맹맹이 소리, 종이 부시럭거리는 소리가
너무 크다던가, 등등..
따라서 실이측정은 매우 중요한 과정이며, 번거롭고 시간이 걸리더라도 소홀히 해서는 안됩니다.
보청기 구입전에 실이측정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박 영 근, Ph.D.
스타키보청기 김포센터
청각음향연구소
http://www.hearbest.net
김포, 강화, 검단 지역 공식 스타키보청기 전문점
경기도 김포시 사우동 927 드림월드프라자 206호
(사우역 3번출구, 김포 공설운동장 앞 우리은행 2층)
031-985-8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