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보청기
디지털 보청기

기술정보보청기 역사 - 이어트럼펫 ~ 디지털 보청기 ~ 인공지능 보청기

관리자
2020-04-01
조회수 2753

안녕하세요. 

김포 스타키보청기 청각음향연구소입니다.


보청기의 역사를 잘 정리한 기사가 있어서 소개합니다.


참고문헌

 “Hearing Aids and the History of Electronics Miniaturization” 

[IEEE Annals for the History of Computing, 2011, Volume 33] by Mara Mills.


17세기~19세기말, 이어트럼펫(Ear Trumpet)


전기가 발명되기 이전인 19세기 말까지는 이어트럼펫이라는 보청기가 있었습니다.

트럼펫처럼 생겨서 그렇게 불렀나 봅니다.


 [이어트럼펫을 사용하는 모습]


 


1900년대초, 진공관 보청기


19세기말 전화가 발명된 직후 20세기 들어서서 만들어진 진공관 보청기는 무게가 100Kg 으로

대형 캐비넷 크기였으며, 이후 개량되어 1924년에 나무박스에 짜여진 진공관 보청기가 

등장했는데, 그 무게가 4Kg 이나 나가서 휴대하기에 꽤 무거웠습니다.



아래 사진의 보청기는 카아본 마이크를 사용한 구식 전화기 형태이며 무게는 1.5Kg 이고

전기가 아닌 배터리를 사용했다고 합니다. 

나무손잡이를 붙잡고 귀에 수화기를 대는 형태입니다.


 

1938년, 최초의 휴대용 진공관 보청기


옷속에 넣을 수 있는 본체와 이어폰을 연결하고 별도의 배터리팩은 다리에 묶고 다니는

형태 입니다.




1953년, 최초의 트랜지스터 보청기


미국 제니스(Zenith)사에서 만든 포켓용 트랜지스터 보청기는 트랜지스터 3개와

1.5V 배터리 한개로 구동을 합니다. 전원스위치도 있고, 볼륨조절기도 있습니다.




1957년 안경형 보청기, 최초의 귀걸이형 보청기

귀에 거는 최초의 보청기입니다. 안경형태로 제작이 되었습니다.

 


1964년, 1.2V 버튼형 배터리를 사용하는 귀걸이형 보청기


무게가 7g(그램) 으로 소형 경량화 된 최초의 귀걸이형 배터리입니다.


1958년에 미국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exas Instrument)사에 의해 IC 집적회로가 발명되면서

1964년에 트랜지스터 대신 IC 집적회로로 만들어졌습니다. 1.2V(볼트) 버튼형 배터리를 사용합니다.

디지털 기술이 발전되기 전까지의 아날로그 보청기입니다.


 


1980년대 하이브리드(Hybrid) 보청기


디지털 기술이 발전을 하면서, 아날로그(Analog)와 디지털(Digital)을 접목시킨 하이브리드 보청기라는

과도기적인 보청기가 있었습니다.  디지털 신호처리(DSP, Digital Signal Processing) 기술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앰프를 제어하는 형식이었습니다.


 


1996년, 디지털 보청기 첫 선


풀 디지털 (Full Digital) 보청기가 처음으로 선을 보였고, 


 


2000년, 디지털 보청기 상용화 시작

디지털 보청기 등장으로 소형화되고 개인의 청력에 맞게 프로그램이 가능해졌으며, 소음제거 기능,

피드백 제어기술과 더불어 주파수 채널별로 음량과 압축률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



2018년, 인공지능 보청기


보청기가 웨어러블 의료기기로 사용되면서, 보청기에 여러가지 디지털 기술들이 접목되어

복합센서와 함께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탑재가 가능해졌습니다.

좌우 보청기의 무선 연결로 소음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최적화 설정이 이루어지고,

휴대폰과 블루투스 무선 연결로 여러가지 앱을 사용하여, 넘어짐을 감지한다던가, 건강을 체크하고,

약 복용시간도 알려주며, 동시통역 기능도 제공합니다.



이상으로 보청기의 역사를 살펴보았습니다.

미국이나 유럽국가들의 보청기 역사에 비하면 우리나라의 보청기 기술력은 아직 미흡한 실정입니다.

부품은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보청기를 피팅(Fitting) 하기 위한 디지털 피팅 알고리즘과

프로그램 소프트웨어도 아직 초보수준입니다.  


전세계 디지털 보청기의 역사는 20년으로 짧지만 많은 발전을 하였습니다. 

아직도 새로운 기술이 연구 개발되는 중이고, 계속해서 더 많은 발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박 영 근, Ph.D.(공학박사)

스타키보청기 김포센터

청각음향연구소 

http://www.hearbest.net


415-803 경기도 김포시 사우동 927 드림월드프라자 206호

(김포 공설운동장 앞 우리은행 2층) 

예약문의 : 031-985-8033